최근 몇 년간 한국 영화계가 전에 비해 지지부진해진 느낌이다. 작년에도 딱히 요새 볼 게 없다 하던 시기가 지속될 무렵, 역사 드라마 "서울의 봄"이 개봉돼 재밌다는 입소문으로 흥행에 성공했다. 영화는 전두환 대통령이 쿠데타를 일으킨 배경과 과정을 담고 있다. 요즘 세대들은 직접 찾아보지 않은 이상 대략적인 전개만 알지 정확한 내막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는 경우가 드문데, 알맞은 타이밍에 우리나라의 역사를 공부해볼 만한 기회를 제공한 것 같다. 가슴 아픈 서사, 임팩트 있는 캐릭터, 그리고 숨막히는 촬영 기법으로, "서울의 봄"은 관객들에게 감명을 주었다. 이 글에서 영화의 어떤 부분들이 흥미를 줬는가에 대해, 그 주요 요인들을 관객의 관점에서 분석해보겠다.
현대 역사를 반영한 스토리라인
"서울의 봄"이 화제를 모으고 관객들에게 그렇게 깊은 울림을 주는 주요한 이유 중 하나는 현대 현실을 반영하는 설득력 있는 스토리라인 때문이다. 이 영화는 전두환 전 대통령이 어떤 과정을 거쳐 쿠데타를 일으켰고 장태완은 그것을 어떻게 막고자 했는가에 대한 내용들을 각색을 거쳐 담아낸다. 전두환과 장태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측근들에 대한 이야기도 엮음으로써, 이 이야기는 관객들이 보다 역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풍부한 감정이입을 통해 체험하도록 만든다. 감명 깊은 장면으로 특수전사령관인 공수혁과 그를 끝까지 곁에서 지킨 오진호의 장면이 있다. 다른 군인들은 다 도망갔는데 딱 봐도 답이 없는 상황에서 오직 충성심과 의리, 그리고 쿠데타를 맞서겠단 신념으로 공수혁의 곁에 남아 싸우다 전사한 오진호라는 캐릭터는 인상에 남는다. 공수혁과 오진호에게 총격을 가한 무리를 통솔한 박수종이 오진호와 절친한 사이이며, 박수종을 지휘한 김창세는 공수혁이 아끼던 부하였다는 사실도 충격적이다. 영화에서 각색하여 추가로 넣은 설정인줄 알았는데 사실이었다는 것을 보고 더 인상깊게 남은 장면이다. 인간관계는 도무지 알 수가 없는 것이라는 허망함을 느꼈다. 박수종과 오진호가 싸울 수밖에 없는 상황은 쿠데타로 인해 몇 주 전까지만해도 밥을 같이 먹던 아군끼리 총을 쏘고 죽여야 하는 비극적인 전쟁 상황을 현실감 있게 보여준다.
배우들의 풍부한 연기
"서울의 봄"의 성공은 또한 영화에 깊이와 관련성을 더하는 풍부한 캐릭터 묘사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배우들은 각각의 캐릭터를 세심하게 연기한다. 이러한 배우들의 강력한 연기는 관객들이 개인적인 수준에서 그들과 연결되도록 한다. 특히 눈에 띄는 연기 중 하나는 주연인 전두광 캐릭터를 맡은 황정민 배우의 연기다. 비주얼부터 전두환이 생각난다. 머리를 민 것도 민건데 평소에 황정민 배우가 별로 생각나지 않을 정도로 전두환과 흡사한 모습이어 관객들이 더욱 몰입감을 느끼도록 했다. 그의 다혈질적인 모습들과 심한 사투리, 특유의 말투들은 영화에 흥미를 불어넣고 더욱 몰입하게 만든다. 특히 마지막에 그가 쿠데타에 성공 후 화장실에 들어가 웃는 모습는 정말 미친 사람이 아닌가 하는 섬뜩함을 느끼게 한다. 물론 이 외에 다른 배우들도 각자 역할에 맞도록 연기를 잘 수행하여 보는 데 불편함 없이 몰입할 수 있었다. 이태신이 행주대교를 막아 돌아가던 2공수를 다시 서울로 보내기 위해 전두광에게 당한 것을 그대로 자기 부하에게 행하는 도희철의 연기가 웃겼던 것이 기억에 남는다. 영화에서는 전두광만이 행동력있게 지휘하고 그에 가담한 반란군들은 대체로 전두광과 같은 편에 서기로 했으면서도 계속 불평불만을 늘어놓고 불안해하는 겁쟁이의 모습으로 그려놓았다. 이 부분이 약간의 코미디 요소가 되었는데, 사실 사실 현실에서는 이렇게까지 겁쟁이들이 아니고 알아서 쿠데타에 성공할 수 있도록 상황판단하고 지휘를 내렸다고 한다.
시각묘사로 긴장감을 증폭시키다
'서울의 봄'은 전두환 쿠데타의 긴장감과 혼란을 파격적인 영상미로 훌륭하게 담아내며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영화의 촬영 기법은 시대의 분위기와 역사적 사건의 강렬함을 전달하는 중요한 스토리텔링 도구다. 디테일과 구성에 대한 감독의 예리한 안목은 시각적으로 훌륭할 뿐만 아니라 역사적 맥락이 풍부한 장면을 만들어내며 관객을 당시의 정치적 분위기에 몰입하게 만든다.
색과 조명은 영화 전체의 분위기를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둡고 차분한 톤이 정치적 음모와 억압의 장면을 지배하며 쿠데타의 침울하고 위험한 분위기를 반영한다. 이러한 시각적 요소의 세심한 조작은 영화의 감정적, 주제적 깊이를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총과 군용차량의 불길한 존재 등으로 인한 상징적인 이미지도 큰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상징은 쿠데타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지속적인 긴장과 광범위한 영향을 시청자에게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심한 제작 설계와 역사적 정확성에 대한 관심은 '서울의 봄'이 설득력 있는 서사일 뿐만 아니라 한국 역사의 중요한 순간을 생생한 삶으로 가져오는 영화임을 보장한다.
마무리
재미가 없을 것 같았는데 사람들이 재밌다고 하는 건 다 이유가 있음을 한 번 더 느끼게 됐다. 아직 미스터리인 것은 육군참모차장이다. 처음에 이 분 말투도 그렇고 전두광 체포를 막고 그냥 대기시키라 하는 행동을 보고 반란군에 가담된 줄 알았다. 그런데 그게 아니라 일을 크게 만들기 싫은 우유부단한 성격의 캐릭터인 것을 뒤늦게 깨닫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정 총장이 절차에 맞지 않게 조사한답시고 납치됐고 총격전까지 일어난 상황에도 체포하지 않았던 건 이해가 안 된다. 그냥 애매한 스탠스를 취하는 사람이 많은 것을 표현한 건가 싶다.